복잡한 세상에서 똑똑하게, 가볍게 살아가기 위한 모든 것
.png&blockId=1c9103dd-b446-80ee-bc14-cf31716cccf1)
머니펜: 돈과 삶에 대한 리뷰
트렌드 인사이트: 요즘 뭐가 뜨는지, 왜 뜨는지 — 사회, 문화, 기술 트렌드 해석
코딩을 모르는 인문학도를 위한 블로그만들기 가이드

블로그만들기
5

미얀마를 강타한 강진
요즘 세상이 참 어수선하죠.
한국은… 말 할 것도 없고요. 사회는 점점 더 찢어지고, 법은 위엄을 잃어가고, 존경할 만한 지도자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특히, 종교 지도자들은 “사랑”과 “공동체”는 어디 두고, 침묵 또는 선동에만 진심인 듯합니다.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행동할까, 항상 스스로에게 물어보라고 조언해주시던 목사님. 그런 말은 누가 못 할까요. 행동이 안 따라 주니 말의 온도는 점 점 차가워지고 있습니다.
그렇게 가스라이팅을 멈추지 않는 세상 속에서도 묵묵히 살아가던 소시민들이 산불로 하루아침에 가족과 집을 잃었다는 소식은 무겁게 다가 옵니다.
솔직히 말해, 이 구절이 필요한 상황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기를 기도할 뿐입니다.
2025년 3월 28일, 미얀마 중부 사가잉 지역에서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죠. 진원의 깊이는 겨우 10km. 지표면과 가까운 얕은 지진이었기에 미얀마 전역은 물론이고, 태국·라오스·베트남·중국 남부까지 흔들렸습니다. 방콕에선 건설 중인 고층 건물이 무너졌고, 일본과 대만은 '장주기 지진동'이라는 현상에 대한 경고를 다시 꺼냈죠.
사가잉 단층이란?
이 지진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며 만들어낸 구조적 긴장 속에서 발생한 것으로, 미얀마를 남북으로 가르는 '사가잉 단층(Sagaing Fault)'의 움직임이 핵심 원인입니다. 아래 지도 그림은 미얀마 만달레이를 통과하는 사가잉 단층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로, 이 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적인 지진들을 원형 마커로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출처: 로이터
이 단층은 '주향이동단층(strike-slip fault)'이라 불리는데, 이는 양쪽 판이 서로 가로질러 움직이다 응력이 축적되었을 때 한순간에 에너지가 방출되어 지진이 일어나는 구조입니다. 이처럼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은 마치 눈에 보이지 않는 시계를 돌리는 힘 같아, 잠잠한 것처럼 보여도 언젠가 반드시 소리를 내죠.
미얀마는 지리적으로 지진 활동이 빈번한 지역이어서, 과거에도 여러 차례 강진이 발생했죠.
과거 주요 지진 사례:
미얀마 지진: 사가잉 단층과 우리가 놓친 이야기.
2025/03/29 15:42
주위를돌아보며
일상정보
